민주당 ‘김남국 징계’ 온도차, 친명 “마녀사냥” vs 비명 “사퇴해야”

친명계 “김남국 ‘총선 불출마’선언, 스스로 처벌 받은 것” “헌정사상 제명된 사례는 YS뿐, 좀 더 판단해 처벌해야” 비명계 “불출마와는 별개 문제, 징계 연기는 잘못된 것” “김남국, 불출마가 아니라 국회의원직 사퇴하는 게 맞아”

2023-08-25     이혜영 기자
(왼쪽부터)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남국 무소속 의원, 신경민 민주당 전 의원.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거액의 가상자산(코인) 투자·보유 및 국회 상임위 회의 중 코인 거래를 해 의원직 제명 위기에 놓였던 김남국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의 도움을 받아 ‘제명안 표결’이 한주 뒤로 연기된 가운데 친명(친이재명)과 비명(비이재명)으로 나뉘어져 계파 갈등을 벌이고 있는 민주당 내부에서 김 의원의 ‘징계안 표결 연기’ 결정을 두고 온도차를 보이면서 내홍이 격화되는 분위기가 엿보였다.

우선 친명계로 분류되는 이재명 대표의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은 2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김 의원을 제명하는 징계를 내리는 것에 대해 “마녀사냥적 성격이 있다”며 반대 입장을 표하면서 “우리 헌정사에서 국회의원을 제명한 경우는 1979년 당시 국회의원이던 김영삼 전 대통령 외에는 없었다”고 반론을 펼쳤다.

이어 김 의원은 “과연 (김남국 의원의 코인 거래 행위가) 그런 (제명이라는 중징계를 내릴 만한) 행위로 볼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생각도 있다”며 “좀 더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검증해서 처벌하면 좋겠다”고 밝히며 안타까워했다.

더욱이 그는 “김남국 의원은 차기 총선의 불출마를 선언해 스스로 단죄를 했고 스스로 처벌을 받은 것”이라면서 “자기가 한 행위에 대해서 법적 문제를 벗어나서 도덕적·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에 대해 인정하고 그에 합당한 처벌을 본인 스스로 내렸다고 본다”고 말해 사실상 제명보다는 낮은 수위의 징계 조치가 내려질 필요성을 피력했다.

반면 친명계의 입장과는 다르게 비명계에서는 엇갈린 반응을 내비쳤는데, 실제로 비명계로 분류되는 신경민 전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하여 김남국 의원의 징계 문제와 관련해 “지금 불출마를 가지고 윤리 1소위가 잠깐 호흡을 고르고 봐 달라고 그러는데 이건 좀 잘못된 것”이라며 “김남국 의원은 총선 불출마가 아니고 사퇴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신 전 의원은 “지금 현재 의원들, 원내가 가지고 있는 김남국 의원의 팩트와 진실은 액수로나 하루 거래양으로나 상상을 초월한다. 저도 그 액수를 듣는 순간 입이 딱 벌어졌다”며 “우리가 대기업에 들어가서 평생 일을 해도 벌기 힘든 돈이다. 스톡옵션까지 다 받아도 벌기 힘든 액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건 국회의원이 아니다. 이건 점눈 딜러도 이렇게 하지 못할 정도의 수준이고, 이런 액수를 다뤘다면 본인이 사퇴해야 한다”며 “또 이걸 가지고 자료를 내내 안 내내 이러면서 계속 국회 공적인 기구하고 이렇게 딜을 한다. 더군다나 앞으로 수사도 받아야 되는데, 수사해서 무슨 팩트가 나올지 모르는 것이기에 사퇴하는 게 맞다”고 잘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