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언론 관여? 적폐청산 수사 때 살아남았겠나”
“아들 학폭 관련 거짓말한 바 없어…국정원 보고서? 국정원 직원 인지하지도 못해”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18일 언론에 관여·압박하지 않았는지 의심의 시선을 보내는 야당 의원을 향해 “이런 관여를 했다면 그 엄혹한 적폐청산 수사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겠나”라고 반문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정원 보고서를 근거로 ‘제목에 보면 라디오 시사프로 편파방송 실태 및 고려사항이라고 돼 있고 소제목에는 사별 보도 실태라고 써있다. 이렇게 제목 혹은 기한까지 다 지정해줬다는 제보를 받았는데 맞나’라고 질의하자 “좌우간 저는 보고받거나 지시하거나 한 일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국정원 직원들의 제보가 있는데 여기에 대해 부인하는 건가’란 고 의원의 질문엔 “단호하게 부인할 뿐 아니라 저희 홍보수석실 내에서 어떤 사람도 그런 증언을 했거나 재판 과정에서 얘기한 사람이 없다. 그러니까 제가 이 자리에 올 수 있었던 것”이라며 ‘실행까지 이뤄졌던 게 9건’이라는 고 의원의 추가 지적엔 “입증되려면 기획, 지시, 실행, 결과가 일관된 뭐가 있어야 되는데 ‘보고서가 있고 결과가 있으니까 이거다’라는 것은 비약이라고 생각한다”고 응수했다.
이 뿐 아니라 이 후보자는 국정원 보고서에 대해서도 “언론을 통해서 그런 보도가 나온 걸 봤을 뿐 제가 국정원에서 보고한 내용을 어떻게 알겠나. 당시 대변인 때 홍보수석 역할도 겸하고 있었기 때문에 거의 사무실에 앉아 있었던 때가 없었다”며 “저는 중요한 사안이 있으면 대체로 대통령한테 하루에 몇 번씩 만나는 사이에 직보를 했지, 보고서를 갖고 보고한 일도 거의 없다”고 입장을 내놨다.
특히 그는 홍보수석 요청 자료라고 적혀 있는 ‘라디오 시사프로 편파방송 실태 및 고려사항’이란 문건과 관련해서도 “그 당시 상주하고 있던 국정원 직원이 수시로 각 수석실을 다니면서 뭐가 필요하냐는 것을 수집해 보고했다고 한다. 나중에 홍보수석실에 누가 한 명 와 있다는 얘기를 알았지 저는 당시에 몰랐다”며 “당시 대변인실, 홍보실 직원들이 80명이 넘기 때문에 일일이 행정관 잘 모른다. 그 (국정원 소속) 사람에 대해 인지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 후보자는 아들 학폭 건과 관련해 강득구 민주당 의원이 ‘피해 학생들은 후보자 아들로부터 1년 내내 폭력에 시달렸고 화해했던 아이들은 없었다 이렇게 교사들 증언이 나온다’고 지적하자 “그 양반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진실의 ‘부분’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일이 100% 진실, 100% 거짓이 어디 있겠나”라며 “어디가 가짜뉴스인지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그는 “저는 제가 알고 있는 그대로 말했지 거짓말을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는데, 강 의원이 ‘만약 거짓말이라고 들통나면 사퇴할 용의가 있나’라고 질의하자 “네. 그 대신 제가 거짓말이 아니라는 것을 해명할 기회는 줘야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