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혁신기구’ 놓고 계파갈등 격화, 非명 “혁신위에 전권을”
‘비명’ 윤건영, 당 쇄신 혁신위 설치 놓고 전권 강화 요구 ‘친명’ 양이원영 “당 지도부는 지도부의 역할이 있는 것” “팬덤과 결별 반대, 의사 통로 막았기에 더 과격해 진 것” 尹 “혁신위를 ‘꼭두각시’로 만드는 순간, 다음 총선은 패배”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더불어민주당 쇄신 방안과 관련해 비명계(비이재명)에서 혁신기구(혁신위) 설치 필요성을 거듭 언급하면서 급기야 혁신위의 권한에 대해 ‘당 지도부의 전권을 과감히 위임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하여 사실상 친명계(친이재명)와 엇갈린 반응으로 계파 갈등 조짐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친명으로 분류되는 양이원영 의원이 24일 “전권 위임이 어떤 의미인지 잘 이해를 못하겠다”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하고 나섰다.
양이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혁신위의 역할이 저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당의 지도부는 지도부의 역할이 있는 거고 혁신위는 혁신의 역할이 있는 거다. 당의 혁신과 개혁에 중점을 두는 혁신위를 적극적으로 하는 게 저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그는 이 대표가 일명 ‘개딸’로 불리는 강성 팬덤과 결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국민들은 다양한 분들이 계시고 당원들도 다양한 분들이 계시는데 부정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반문하면서 “(저는) 오히려 당원들의 의사 통로를 막았기 때문에 더 과격하게 이렇게 표현이 되고 있지 않는가 싶다. 심지어 저희 당원들은 국민의힘보다도 민주당이 민주적이지 못하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제가 보기에도 그렇다”고 지적하며 사실상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더욱이 양이 의원은 “저는 민심의 실체가 뭔지 궁금하다”며 “당심과 민심의 괴리가 되는 게 문제라고 얘기하는데, 당심은 당연히 당원이다. 저희를 지지하는 분들이 당원인 거고, 민심이라고 하는 국민에는 국민의힘 지지자도 3분의 1 있고 민주당원들도 3분의 1 있고, 이것도 저것도 관심없거나 왔다 갔다 하시는 분이 3분의 1이 있다. 그러면 이걸 다 합치면 (민심) 안에는 민주당이 너무나 싫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럼 그게 민심인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저는 중도는 누가 대한민국을 제대로 끌어가는지에 대해서 능력을 보여주고 그렇게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층에 대해서 투표를 던질 거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하면서 “누가 우리 국민들을 더 잘 먹여 살리고 더 안전하게 보호하고 국제무대에서도 제대로 역할을 하고 기업들이 잘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들고 그 능력을 보여주는 게 정치의 역할인 거다”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전날 비명으로 분류되는 윤건영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봉하마을에 다녀오는 길이다. (그런데) 노무현 전 대통령 앞에 서니, 길을 찾지 못한 어수선한 우리 당 상황이 더욱 또렷하게 보인다”면서 “(내년 총선의) 승패를 가르는 요인은 결국 누가 더 변화하는가일 것이다. 누가 더 많이 내려놓는가를 통해 누가 더 절박한지가 보일 것이다. 그러하기에 우리의 혁신은 ‘내려놓을 각오’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혁신위의 강력한 권한을 요구했다.
이어 윤 의원은 혁신위와 관련해 “대충 모양새만 만들어서, 시늉을 할 거라면 애초에 만들 이유도 없다”고 잘라 말하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혁신위의 권한’이다. 전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당 지도부의 권한을 과감하게 위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눈치를 보지 않고, 경계 없이 모든 것에 관여할 수 있어야만 한다. 당 지도부를 비롯해 의원 모두가 현재의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가능한 일이다”며 “혁신위를 ‘꼭두각시’로 만드는 순간, 다음 총선은 해보나 마나 패배인 것”이라고 경고했다.
뿐만 아니라 윤 의원은 혁신위원장의 자질에 대해서도 “온정주의와는 과감하게 결별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엄정한 외부의 시각만이 민주당 변화와 혁신의 동력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으며, 더 나아가 “혁신의 범위를 제한하면 안된다.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는 심정으로 해야만 한다. 즉, 민주당을 재창당 수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