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민주당, 당 존폐 걸고 돈 봉투 의혹에 엄정 조치 나서야”

이은주 “수사권 문제는 핑계 되지 못해…한두 명 나간다고 문제 해결 안돼” 이정미 “일부 정치인이 아닌 사실상 민주당 전체를 뒤흔들고 있는 사건”

2023-04-26     김민규 기자
정의당 이은주 원내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 상무집행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김경민 기자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정의당이 24일 돈 봉투 의혹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을 겨냥 “당 존폐의 명운을 걸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엄정한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은주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의당 상무집행위원회의에서 “2년 전 LH 사태 당시 민주당은 의혹이 제기된 의원들에게 탈당 권고하고 권익위 전수조사를 요청하는 등 국민 앞에 책임지려 했다. 지금의 민주당은 정당정치와 민주주의를 훼손하고도 당 차원에서 한 조치라고는 송영길 전 대표의 귀국을 촉구한 게 전부”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송 전 대표는 이정근 전 부총장으로 꼬리 자르고, 민주당은 송 전 대표로 꼬리 자르며 국민에게서 일탈했다. 여기에 300만원은 거마비와 식비 수준이라 강변하고, 물욕이 적은 사람이라며 송 전 대표를 두둔하는 모습에서는 도덕적 해이 수준을 넘어 성찰 능력을 잃은 ‘악의 평범성’까지 엿보인다”며 “민주당 돈 봉투 사태는 단순한 금품수수 사건도, 몇몇 개인의 일탈도 아니다. 녹취록으로 확인된 현역 의원만 20명에 원외 지역위원장과 당직자까지 더하면 40~50명의 인사가 대거 연루된 조직적 선거범죄”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은 당 차원의 그 어떤 선제적 조치도 하지 않고 있는데, 수사권 문제는 더 이상 핑계가 되지 못한다”며 “연루 의원들에 대한 진상조사와 탈당 등 적어도 LH 사태 당시 취했던 수준만큼의 조치를 신속하게 내놓길 바란다”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이 뿐 아니라 같은 당 이정미 대표도 “송 전 대표의 기자회견은 낡고 구태한 돈 봉투 사건에 분노한 국민들이 전혀 납득하기 힘든 실망스러운 회견이었고 탈당하겠다는 말 빼고는 이번 사에 대해 ‘나는 몰랐다’, ‘당당히 소명하겠다’는 답변으로 책임회피에 급급했다. 기자회견 직후 민주당 정치인들은 앞다투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큰 그릇이다’ 등 칭찬인지 격려인지 이해할 수 없는 말을 쏟아냈다”며 “민주당이 과연 이번 비리 의혹을 문제로 여기기나 하는지 의문이다. 실명이 거론된 인물 한 두 명이 민주당을 나간다고 민주당 내부에 쌓여 있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한 목소리로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 대표는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는 녹취록과 이정근 노트, 돈 봉투 전주 ‘스폰’ 자녀의 이재명 선거캠프 취직 의혹 등 이번 사태는 송 전 대표와 일부 정치인이 아닌 사실상 민주당 전체를 뒤흔들고 있는 사건”이라며 “이 정도 상황이면 민주당 스스로 존립 여부를 걸고 자정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그는 민주당 지도부까지 겨냥 “당 지도부를 포함해 연관된 모든 인물이 자신을 스스로 내려놓고 이번 사태에 책임지지 않고서야, 그 돈은 식대에 불과하고 관행적인 일이라고 인식하고서야 다른 당 심판하자면서 자격 우위를 주장할 수 있겠나”라며 “국민들의 분노와 불신이 민주당에 그치는 게 아니라 정치 전반의 실패로 여겨질까 두렵다. 오늘의 부끄러운 정치 앞에선 정치혁신의 길을 열기 위한 뼈를 깎고 살을 도려내는 쇄신만이 답”이라고 요구했다.

이 같은 주문 속에 민주당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했던 박범계 민주당 의원은 앞서 같은 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그냥 자성만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고 실체에 접근하려는 노력, 특별조사기구가 필요하다”며 “현 상황에서 우리 당으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첫째, 진실규명에 대한 엄중한 접근 노력이고 두 번째는 당 내부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에 표의 등가성 문제 이런 것들에 대한 밑으로부터의 당원 개혁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입장을 내놓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도부에선 아직 자체 조사엔 선을 긋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