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주호영, 윤 대통령 ‘명예 당 대표’ 추대설 놓고 온도차

정진석 “尹, 같은 배에 탄 일원”…주호영 “당정관계, 너무 일치되면 건강한 비판 없어져”

2023-02-15     김민규 기자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좌),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우).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국민의힘 지도부가 15일 당정융합 취지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명예 당 대표’로 추대하는 방안에 대해 저마다 엇갈린 반응을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명예 당 대표 얘기를 처음 듣기는 하지만 집권여당과 대통령실은 유기적인 협력관계가 작동돼야 한다. 고위당정회의를 매주 왜 하겠나. 우리가 능률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책임지는 여권으로서 충실히 일을 다하기 위해 하는 것”이라며 “행정부와 입법부라는 게 견제와 균형의 관계라고 해서 집권여당과 대통령실이 분리되는 게 옳다고(만은)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 위원장은 거듭 “사실 당정분리라는 말은 엄밀히는 맞지 않는다. 국민의힘의 당헌·당규에도 집권여당으로서 정부를 충실히 뒷받침해야 한다는 의무조항이 있다”며 “우리는 늘 같은 책임을 지고 같은 목적을 향해서 가는, 같은 배에 탄 우리 일원”이라고 사실상 ‘명예 당 대표’ 추대 안에 우회적으로 힘을 실었다.

실제로 정 위원장의 발언처럼 국민의힘 당헌 제8조 1항에는 ‘대통령에 당선된 당원은 당의 정강·정책을 충실히 국정에 반영하고 당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적극 뒷받침하며 그 결과에 대해 대통령과 함께 국민에게 책임을 진다’고 명시돼 있으며 2항에는 ‘당정은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긴밀한 협조관계를 구축한다’고도 나와 있다.

하지만 같은 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앞서 이날 오전 국회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을 당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을지는, 새 지도부가 들어서면 당원들의 뜻을 모아 결정할 일”이라며 신중한 자세를 취하면서도 “전당대회 과정을 통해 당원들의 의견이 수렴되면 그걸 바탕으로 당정관계가 협력관계가 되기도 하고 건강한 긴장관계도 유지해야 한다. 긴장관계만 유지해선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너무 일치되면 건강한 비판 기능 같은 게 없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주 원내대표는 “언제는 총재를 겸하다가 당정분리가 됐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 모든 것은 중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라며 “협력도 하면서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무엇인지, 전당대회를 통해 드러난 당원 생각이라든지 이런 것을 통해 새 지도부가 결정할 일”이라고 덧붙여 ‘중도’에 방점을 뒀다는 점에서 정 위원장과는 일부 온도차가 감지되고 있다.

한편 앞서 한 언론은 윤 대통령이 최근 사석에서 “책임정치 구현을 위해 대통령실과 당이 함께 시너지를 내는 당정융합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 구체적 방안으로 윤 대통령이 명예 당 대표를 맡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전했다.

굳이 ‘명예직’을 언급하게 된 데에는 국민의힘 당헌 제2장 제7조에 ‘대통령에 당선된 당원은 그 임기 동안에는 명예직 이외의 당직을 겸임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지도부부터 시각차를 내비친 가운데 이 사안이 어떤 방향으로 당내 의견 수렴될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