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한미일, 다양한 채널로 북핵 대응 준비 중”
日 총리와 전화통화 관련해선 “북핵·미사일 도발엔 한미일 협력 대응키로 인식 같이해”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북핵에 대응해 나가는 안보협력 3개국이 외교부 또 안보실 등 다양한 채널을 가동해서 거기에 대한 대응 방안을 아주 차근차근 준비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로부터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면 대응방안으로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까지 고려하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미리 말씀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 내용도 밝혔는데, “북한 탄도미사일 관련해 통화를 나눴고 북한의 핵도발, 미사일 도발에 대해 한미일 3국의 긴밀한 안보협력 체제를 구축해 굳건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하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기시다 총리가 의회에서 (한국은)‘다양한 국제현안에 대해 함께 협력해야 될 파트너’라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서도 같은 내용의 생각을 서로 공유했다. 한일관계가 빠른 시일 내에 과거같이 좋았던 시절로 되돌아가 기업, 국민 교류가 원활해지면 양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거라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을 같이 했다”고 강조했다.
이렇듯 한미일 3국 협력을 강조한 게 빈 말이 아닌 듯 국방부도 7일 허태근 국방정책실장이 일라이 래트너 미국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차관보, 마스다 가즈오 일본 방위성 방위정책국장과 3국 고위 국방당국자 공조 통화를 했는데, 허 실장 등 3국 당국자들은 이날 “북한의 최근 연이은 탄도미사일 도발에 따른 한미일의 공동대응과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북한이 도발을 거듭할수록 3국의 안보협력은 더 강화될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낸 것으로 국방부는 전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북핵 관련 안보 사안 외에도 전날 여성가족부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 개편과 관련해선 “여가부 폐지는 여성, 가족, 아동,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를 더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입장을 내놨는데, 더불어민주당이 원내 과반인 상황인 만큼 ‘정부조직개편안의 국회 통과 가능성을 얼마나 보느냐’고 기자들이 질문하자 그는 “국회 상황에 대해 제가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라면서도 민주당을 겨냥한 듯 “(정부조직개편안은) 권력 남용에 의한 성비위 문제에 대해서도 피해호소인이라고 하는 그런 시각에서 완전 탈피하자는 것이다. 여성에 대한 보호를 더 강화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다만 그는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 정당성이 인정됐고 대선을 같이 했던 이준석 전 대표의 추가징계가 나왔다’는 기자들의 질문엔 “제가 당무에 답한 적 없지 않나. 다른 질문을 해달라”며 즉답을 피했고, 이날 오전 대통령실에서 주재하는 비상경제민생회의와 관련해선 “관계 장관들과 여러 리스크를 점검할 것이다. 얼마 전 거시상황점검회의를 하면서 기업의 재무를 담당하는 분들을 모시고 얘기를 들었는데 오늘은 관계부처들이 경제 불안정성에 대해 어떤 식으로 대책을 수립해 대응해나가는지 조목조목 점검해볼 생각”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