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호, 이재명 검경수사 겨냥 "인디언 기우제 같아"
국민 62.7% "이재명 사법리스크는 존재" 정성호 "이재명 사법리스크는 악의적 프레임" 수사 확대 나선 검찰, 위례신도시도 혐의 포착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측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가지 각종 수사들이 하나 둘씩 결과가 나오면서 '이재명 사법리스크'의 현실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점차 커지는 듯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급기야 한 여론조사에서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이 대표에 대한 '사법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반면 '친명계'(친이재명계)의 좌장으로 불리우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먼지털이식 수사"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날 여론조사전문회사인 여론조사공정㈜이 데일리안의 의뢰로 지난달 29~30일 양일간 전국의 성인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한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그의 '사법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무려 62.7%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대해 보다 세부적으로는 '매우 크다'는 응답은 40.6%였고, '어느 정도 있다'는 응답은 22.2%였다. 반대로 '사법리스크가 없다'는 응답은 17.8%였고, '전혀 없다'는 14.1%인 것으로 기록됐다. 이밖에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4%였다.
조사를 의뢰했던 데일리안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설문을 격주 단위로 진행해 왔다고 밝히면서 "사법리스크에 대한 설문을 시작한 이래로 (이번 조사가) 최고 수치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일각에서는 그간 이 대표를 둘러싸고 있던 많은 의혹들이 그 정황들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기에 의구심만 높은 상황이었다가 검경수사의 결과들이 어느 정도 진척되어 하나 둘씩 밝혀지기 시작하여 '의심이 확신'으로 변하면서 부정적 여론이 더욱 커지는 분위기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라고 관측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 100% 자동응답(ARS) 방식의 전화조사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였고,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민주당 측에서는 이 대표가 신임 대표로 취임하는 동시에 이 의원을 둘러싸고 있던 의혹들의 수사 결과도 나오자 당황하는 눈치가 엿보였는데, 그러면서도 친명계 의원들은 여전히 이 대표를 호위하기 위한 전선을 구축하려는 듯 '정치 탄압 프레임'을 주장하고 나선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친명계'의 핵심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도 전날밤(8월31일) KBS라디오 '주진우 라이브'에 출연하여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이게 하루이틀 문제인가"라면서 "걱정하지 않는다. (혐의가) 나온 게 뭐가 있느냐. '이재명이 돈 받았다'는 증거는 단 한 건도 나온 게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이 대표를 둘러싼 혐의들의 증거들은) 나올수가 없다"면서 "이것은 그야말로 먼지털이식, 소위 '인디언 기우제' 지내듯이 나올 때까지 턴다 하는 정치 보복성, 정치 탄압성 수사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경찰 수사에서 전날 이 대표의 부인인 김혜경씨가 '경기도 법인카드 사적 유용 사건'과 관련해 수행비서인 배모씨와 함께 '공동정범'이라며 검찰로 송치된 것에 대해서도 정 의원은 "사실 이건 잘못된 관행 때문"이라면서 "정부에, 수많은 지방자치단체장들, 그 다음에 법인카드를 쓰는 많은 분들의 그런 사례가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김혜경씨는 (배씨가 법인카드를 사용한) 그 사실을 몰랐다. 본인(김혜경)도 여러 차례 교육을 받았었고 주의 받았기 때문에 밑의 비서들이 그 정도로 법인카드 유용하는지는 잘 몰랐을 것이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강조하며 적극 호위했다.
한편 이날 법조계에 따르면, 성남시 대장동 개발(2015년) 특혜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김만배·남욱·유동규 등 대장동 비리 의혹 핵심 3인방이 2013년 성남 위례신도시 개발 사업 비리에도 관여한 혐의를 포착하여 검찰이 수사 확대에 나선 상황이라고 알려졌다.
특히 검찰은 대장동과 위례신도시 개발의 두 사업의 구조가 너무 흡사한 판박이라고 보면서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 대표가 위례신도시 개발 비리를 인지했는지에 대한 여부 등 연루 가능성을 의심하면서 수사를 확대해 갈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