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한상혁·전현희 겨냥 “국무회의 올 필요 없는 사람들”

권성동 “정권 바뀌었다. 철학 맞지 않는 사람 밑에 왜 자리 연명하나”

2022-06-17     김민규 기자
(좌측부터)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했던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과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여당 원내대표는 물론 대통령까지 점점 높아지는 거취 압박으로 벼랑 끝에 몰리는 모양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7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한 위원장과 전 위원장을 겨냥 “그분들은 문 전 대통령의 철학에 동의해서 그 자리에 가 있는 것이지 윤석열 대통령 철학에 동의해 가 있는 게 아니다”라며 “정권이 바뀌었다. 행정부 수장과 철학도 맞지 않는 사람 밑에서 왜 자리를 연명하나”라고 사실상 자진사퇴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권 원내대표는 “방통위와 권익위는 정부의 핵심 부처다. 나중에 만약 민주당 대통령이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우리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들은 다 나오는 게 맞다”며 거듭 거취 표명할 것을 압박했는데, ‘방통위와 권익위가 다른 기관과 달리 중립적 성격을 가졌다’고 한 진행자의 발언에도 “기본적으로 행정부의 일원이기 때문에 그렇게 구분할 필요는 없다”고 맞받아쳤다.

앞서 권 원내대표는 이미 전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서도 “자리에서 물러나는 게 정치 도의상 맞는다고 본다. 법적으로 임기가 보장됐다 하더라도 (자리 지키고 있는 것은) 정치 도의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대통령이 바뀌면 대통령의 철학을 이해하고 정치적 식견, 견해에 동의하는 사람이 함께 일하는 게 대통령제의 속성이다. 그걸 정치보복으로 보면 안 되고, 오히려 그 자리에 앉아있는 게 후안무치하고 자리욕심 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한 위원장과 전 위원장을 압박한 바 있다.

급기야 17일 오전엔 윤 대통령까지 직접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한 위원장과 전 위원장에 대해 “임기가 있으니 자기가 알아서 판단할 문제”라면서도 “국무회의에 필수요원도 아닌 사람들이 와서 앉아있으면 다른 국무위원들이 이야기를 툭 터놓고 할 수 있겠나. 비공개 논의도 많이 하는데 굳이 올 필요 없는 사람까지 다 배석시킬 필요가 있나”라고 사실상 사퇴할 것을 종용했다.

실제로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4일 국무회의에 전 위원장과 한 위원장을 부르지 않기도 했는데, 다만 이들의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상황이어서 방통위와 국민권익위라는 요직을 전 정부 인사로 둔 채 이어가기도 어렵다는 판단에 윤 대통령까지 거취 압박에 나선 것으로 보이나 민주당에선 ‘산업부 블랙리스트 사건’에 빗대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당사자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