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尹 회동 성공적, 윤석열 용산 집무실 걸림돌 끝?

김은혜 "문 대통령, 청와대이전 협조의사 피력 확인" "다만 예단으로 앞서 나가 드릴 수 있는 부분은 없어" 윤호중 "안보우려 극복방안 나오면, 이의 제기 안해" 박찬대 "윤 집무실, 속도전으로 추진할 사안 아니야" 민주당, 靑 이전 문제 국회 표류 시킬 가능성도 있어

2022-03-29     이혜영 기자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문재인 대통령의 첫 회동이 파열음 없이 협조적인 분위기로 진행된 가운데 윤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이 앞으로 순조롭게 진행될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앞서 전날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회동을 마친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2시간 36분 간 화기애애하게 흉금을 털어놓고 얘기를 나눴다"면서 윤 당선인이 사용하게 될 집무실의 이전 문제에 예비비를 편성해 주는 등의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이에 29일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정례 브리핑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 정권 이양기에 현직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인이 맞잡은 손 그리고 이 대화로 걱정을 좀 덜어드리는 데에 의미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평가하면서 용산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께서 (전날 만찬 회동에서) 이 부분에 대해 언급해 주시고, 또 협조 의사도 피력해 준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이어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서로 공감대를 이룬 사안에 대해 원칙을 확인한 만큼 실무협의는 조속히, 긴밀히 추진될 것"이라면서 "(다만 용산 집무실 이전 문제는 아직) 저희가 먼저 예단해서 혹은 먼저 앞서 나가서 드릴 수 있는 부분은 없다"고 부연하여 자칫 말실수로 인해 불발될 가능성을 염려하는 눈치였다.

다만 그는 "실무협의 조율 결과에 따라 추후 말씀드릴 계기가 있을 것"이라고도 덧붙이면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긍정적인 신호음을 내보였다. 

한편 그간 '안보 공백'을 주장하며 강하게 반대음을 내왔던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대해 한층 누그러진 자세를 취하면서도 엇갈린 반응을 보였는데, 먼저 고용진 수석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文-尹 만찬회동으로) 현 정부에서 새 정부로의 인수인계에 대한 국민의 걱정을 덜어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다행스럽다"면서 "특히 국민께서 주목하시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서도 충분한 논의와 준비를 통해 국정 혼선, 안보 공백에 대한 우려 없이 국민의 박수 속에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아울러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윤 당선인 측이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에 대해) 안보 우려를 극복할 방안이 나온다면, 별다른 이의를 제기할 생각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며 결을 같이 했다. 

그러면서 윤 비대위원장은 "저희는 인수위 기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국방부로 이전하는 부분이 안보 태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이야기한 것"이라고 해명하면서 "문 대통령 임기 중에 안보 불안이 조성되지 않는 방법으로 (대통령집무실 이전을) 결정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박찬대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청와대 이전은 당선인이 즉흥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 아니다. 속도전으로 추진할 사안이 아니다"면서 "관련 예산 편성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뒤 국회의 동의를 거쳐 추진하는 게 순리인 것"이라고 강조해 '협조'가 아닌 유보적으로 반대음을 낼 기류를 엿보이며 국회에서 표류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