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대결보다 네거티브 택한 민주당, 이유는?

김종인 ‘네거티브 중단’ 요구에 與 “이제 와서 하지 말자면 되나”

2021-12-21     김민규 기자
(좌측부터)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김종인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 김병기 민주당 선대위 현안대응TF단장. 사진 / 시사신문DB, ⓒ더불어민주당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네거티브 전쟁은 그만하고 민생과 우리나라 경제의 앞날을 위해 각 후보가 어떤 주장을 내걸고 경쟁할지에 몰두해야 한다”며 정책대결을 펼치자고 호소했으나 더불어민주당은 결코 네거티브 전략을 철회할 뜻이 없는 모양새다.

민주당 선대위 현안대응TF단장인 김병기 의원은 2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김 위원장의 네거티브 중단 발언을 꼬집어 “본인들은 다해놓고 이제 와서 하지 말자고 하면 되나? 후보들끼리 합의하면 모를까 그 전에는 안 되겠다”며 “아직 윤석열 후보 본인에 대해선 시작도 안 했는데 너무 엄살이 심한 것 같다. 더 철저히 검증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다만 김 의원은 “저희가 만약에 하는 게 네거티브 수준이라면 지금 국민의힘에서 하는 것은 마타도어 흑색선전”이라고 주장했으나 이재명 민주당 후보의 아들 의혹과 관련해 일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예로 들어 “모 유튜브 방송이 받아서 그걸 갖다 발표하고 그걸 다시 공식기구에서 받아서 다시 얘기하고 이걸 다시 언론에서 받고 이런 일련의 행위로 간다고 의심되면 그게 마타도어”라고 입장을 내놨다가 ‘일부 유튜브에서 제기하는 의혹을 먼저 국민의힘에서 제공했다는 의미냐’고 질문 받자 “국민의힘이 마타도어 한다는 뜻이 아니고 저희가 하는 게 네거티브 수준이라면 저희처럼 검증을 철저히 한 다음에 해달라는 것”이라고 발언을 번복했다.

이처럼 민주당이 여론의 부정적 시선에도 불구하고 네거티브 전략을 놓지 않으려는 데에는 이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모두 가족 논란 등 잇따른 네거티브전으로 타격을 입었지만 여러 지표상으로는 상대적으로 윤 후보 측이 받은 타격이 더 크다고 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두 후보 모두 지지율이 하락하면서도 윤 후보가 더 떨어져 이 후보가 골든크로스를 이룬 결과는 속속 나오고 있는데,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TBS 의뢰를 받아 전국 유권자 1008명에게 지난 17~18일 실시한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이 후보 40.3%, 윤 후보 37.4%를 기록해 한 주 전과 달리 이 후보가 윤 후보를 오차범위 내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18~19일 전국 유권자 1014명에게 실시한 다자 가상대결(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도 이 후보 37.5%, 윤 후보 36.7%로 양자 모두 지지율이 하락했음에도 이전 조사 때와 달리 이 후보가 오차범위 내 앞서는 것으로 뒤바뀌었는데, 네거티브전이라는 진흙탕 싸움을 지속할 경우 당초 정권교체론에 힘을 싣고 있던 중도층의 야당 후보 지지를 흔들어놓거나 아예 이탈하게 만들 수 있어 민주당은 이를 지속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선지 윤 후보도 네거티브를 중단하자고 여당에 공개 제안한 김 위원장의 호소에 대해 “바람직한 얘기기는 하지만 한국 정치사에서 그런 적이 없었기 때문에”라며 실현되기 어려울 거란 회의적 반응을 보였는데, 이를 증명하듯 민주당에선 21일 윤 후보의 장모인 최모씨가 서울 송파구 소재 60평대 고급 아파트를 차명으로 갖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최씨와 동업자 A씨의 위증 혐의 관련 2005년 5월 17일자 서울동부지방법원의 약식명령을 공개하는 등 즉각 공세를 지속했다.

그러자 당내 대선경선 당시 윤 후보와 경쟁했던 홍준표 의원은 21일 페이스북을 통해 “네거티브를 돌파하는 유일한 길은 정책 대선으로의 전환이다. 그러기 위해선 조속히 대선 토론회를 개최해야 한다”며 “경선 때도 10여 차례 이상 토론회를 했는데 본선 때는 그 이상의 토론회도 감당해야 한다. 회피하지 말고 토론에 즉각 응하라”고 윤 후보에게 충고했는데, 과연 윤 후보가 네거티브 돌파를 위해 이 후보와의 토론을 수용할 것인지 벌써부터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