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회동한 안철수·심상정, 후보 단일화는 선 긋기

단일화 질문에 沈 “너무 앞서간 얘기”…安 “전혀 없다” 일축

2021-12-06     김민규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좌)와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우)가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이날 양당 대선후보 회동과 관련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거대 양당 후보가 박빙의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그 사이에서 입지를 넓히기 위한 고민을 모색해온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 등 군소 대선주자들이 6일 함께 머리를 맞대고 일단 정책연대에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

안 후보와 심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1시간20분간 비공개 회동을 가졌는데, 이날 회동 결과에 대해선 양당 원내대표가 “두 후보는 이번 대선이 양당 기득권을 지키는 선거가 아니라 시민의 삶을 지키는 선거가 돼야 한다는 것에 인식을 같이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첫째로 이번 대선은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는 대선이 돼야 하고 둘째는 양당체제에 경종을 울리는 대선이 돼야 한다. 셋째로 이번 대선은 국민의 어려운 현실과 청년의 불안한 미래에 답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며 “두 후보는 기득권 양당 후보가 도덕성과 자질 논란으로 만든 진흙탕 선거에 함몰되지 않고 공적연금 개혁 및 기후위기 대응, 양극화와 불평등, 탈탄소 대책 등 미래 정책 의제를 놓고 선의의 경쟁을 하기로 했다”고 밝혀 선거전략 차원보단 주요 현안 관련 정책적 연대 차원의 만남이었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배진교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거대 양당 후보를 겨냥한 대장동 게이트와 고발 사주 의혹에 대한 특검과 관련 “쌍특검은 이미 안 후보가 제안한 바 있고 정의당이 적극 동의한다는 의사를 표현한 바 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상설특검을 하되 특검 후보자 추천은 기득권 양당이 내려놓고 정의당과 국민의당이 추천위를 구성해 추천하는 방안”이라고 회동 결과를 전했는데, 이밖에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지급 등 민생대책 뿐 아니라 결선투표제도 도입 및 다당제 전환과 같은 정치개혁 관련 논의에서도 양당 간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제3지대 후보 단일화로 비쳐지는 것은 경계하는지 양당 후보 모두 확대해석엔 선을 긋는 자세를 취했는데, 심 후보는 이날 회동 전 기자들과 만나 후보 단일화에 대해 “너무 앞서가는 이야기”라고 부인한 데 이어 회동 직후에도 “양당체제를 극복하고 민생정치, 미래정치를 복원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여러 ‘정책적 협력’을 하기로 했다”고 강조했으며 안 후보 역시 단일화에 대해 묻는 질문엔 “전혀 없다”고 단호히 일축했다.

이에 대해선 이미 배 원내대표와 권은희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같은 날 회동 전에 분명히 밝힌 바 있는데, 배 원내대표는 “이번 회동에선 단일화가 주제가 전혀 아님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못을 박았으며 권 원내대표도 “정치공학적인 단일화나 연대 이런 부분들은 논의의 방향이 전혀 아니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서 민주당에선 이들 두 후보의 만남에 대해 회동 전부터 견제하는 시선을 보냈는데, 우상호 의원은 같은 날 오전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제가 알고 있는 진보 후보인 심 후보가 안 후보라도 만나서 뭘 해보겠다고 하는 것은 저는 긍정적으로 보고 싶진 않다. 저 두 분의 만남은 못마땅하다”고 혹평을 쏟아내 이번 회동이 단지 정책연대에 그치지 않고 향후 제3지대 단일화로 이어질 일말의 가능성을 경계하는 반응으로 비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