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선대위 때문에 ‘속앓이’…곳곳서 쓴소리

초선들 “현장성 떨어진다” 일침…우원식·정청래 등 다선도 “변화” 촉구

2021-11-16     김민규 기자
민주당 초선인 윤영덕, 장경태 의원과 중진인 우상호, 3선의 정청래 의원,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이재명 대선후보의 지지율도 부진한 가운데 각종 악재에 대한 대응도 적시에 대처하지 못하면서 출범한지 보름도 안 된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초선부터 중진에 이르기까지 당 내부에서부터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당초 원팀 결속 차원에서 매머드급 규모의 선대위를 꾸렸지만 도리어 비대해지기만 했을 뿐 내부 소통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민주당 중진인 우상호 의원은 지난 15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부산 재미없다” 발언 논란을 예로 들어 “민주당 대응이 늦었고 선대위가 정신 차려야 된다. 저도 공동 총괄본부장 중 한 명이지만 지금 선대위 띄워놓고 완전히 상설체제, 말하자면 상근체제로 동원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저쪽 대응에 대응하고 비판할 것 있으면 비판하고 그렇게 돌아가야 되는데 아직도 사무실에 전체 입주해서 상근체제가 착 짜여져 돌아가고 있지 않다. 이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 의원은 “명단만 올리고, 직책을 맡은 의원들 전원이 상근체제로 변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문제다. (선대위가) 발족식만 하고 실제 발족은 안 된 것 같다”며 “실제로 선대위를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분들은 소수여야만 되고 그래야 돌아간다. 송영길 상임선대위원장과 조정식 상임 총괄선대본부장 두 라인이 돌아가야 하고 그 옆에 있는 각 상임본부장들이 사실은 준비되면 준비된 대로 아침부터 저녁까지 계속 머리를 맞대고 여러 대책을 논의하는 그런 시스템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사실 내년 초에 쓸 수 있는 여러 카드들을 준비해놔야 한다. 지금 선대위에 외부인이 단 한 명도 없는데 그건 미리 준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꼬집기도 했는데, 비단 우 의원 뿐 아니라 당 선대위 E-스포츠위원회 위원장인 정청래 의원도 16일 동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 선대위 운영과 관련해 “기계적 원팀, 이런 게 좀 너무 집착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탕평선대위에 신경 썼다면 적재적소 인재 배치 선대위로 질적 전환을 해야 될 때 아닌가”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야권에서의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처럼 민주당 인사 중 그립이 센 인물로 이해찬 전 대표를 꼽으면서 “지금 상태로는 본인이 출전할 명분이라든가 이런 게 좀 덜 성숙돼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성숙되면 이 전 대표께서 당연히 출전하지 않을까”라고 관측했는데, 이처럼 다선의원들의 지적과 더불어 초선의원들도 당 선대위에 ‘이대로는 안 된다’는 경고성 목소리를 쏟아냈다.

정당쇄신·정치개혁의원모임 소속의 민주당 초선의원 10명은 앞서 지난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선대위가 국회의원 중심, 선수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현장성이 떨어진다. 사회 각계각층 현장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외부인재를 영입해 전면 배치하고 이들에게 실질적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며 쇄신 필요성을 역설했는데, 이 뿐 아니라 현근택 선대위 대변인 역시 같은 날 CBS라디오에 나와 “당내에 위기감이 아직 부족하다. 현역 의원들이나 선대위를 보면 실제 여론이 굉장히 안 좋고 바닥 민심이 안 좋은데도 그 정도 위기감은 없는 것 같다”고 당내 상황에 대해 쓴 소리를 쏟아냈다.

급기야 이재명 민주당 후보도 직접 이날 선대위 회의에서 “현장의 어려운 문제에 대해 좀 더 민감하고 신속히 반응해야 한다. 국민이 민주당에 가진 높은 기대가 실망으로 변질되고 있는 느낌”이라고 당을 향해 일침을 가했는데, 당 중심으로 현역의원이 모두 참여하는 ‘원팀’ 선대위라는 매머드급 형태 조직을 꾸렸지만 별 효과는 나지 않고 있는 이 같은 상황은 현재 선대위 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놓고 논의 중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측에도 일종의 ‘반면교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