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부동층에 달렸다? “현 지지 철회할 수도” 44.9%

‘철회 의사 없다’ 1위는 이재명 지지층…‘철회 의향 있다’ ‘향후 봐서 결정’ 선두는 이낙연

2021-10-05     김민규 기자
(좌측부터) 이재명 경기도지사, 윤석열 전 검찰총장,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여러 의혹 관련 지지했던 후보에 대해 지지 철회 의향이 있느냐고 묻는 질문에 과반인 52.7%는 ‘없다’고 답한 반면 23.3%는 ‘있다’, 21.6%는 ‘향후 진행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5일 밝혀졌다.

여론조사공정(주)이 데일리안 의뢰로 지난 1~2일 전국 유권자 1003명에게 실시한 ‘현재 지지후보 철회 여부’ 여론조사 결과, 2.4%는 잘 모르겠다고 답한 반면 나머지는 이 같은 답변을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지후보 변경 가능성이 있거나 향후 진행상황을 보고 정하겠다는 ‘부동층’ 비율이 44.9%에 이른다는 점에서 예측불허의 대선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요 후보들 중 지지철회 의사가 없다고 답변한 비율이 가장 높은 건 이재명 경기도지사 지지층으로 71.6%를 기록했으며 뒤이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61.1%,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45.2%,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36.3%순으로 나왔고, 반대로 철회 의향이 있다거나 향후 진행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부동층 비율은 이 전 대표가 62.9%로 선두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대표 뒤로는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이 54.8%, 윤 전 총장 37%를 기록했으며 이 지사는 25.4%로 나왔는데, 연령별로는 50대에서 ‘지지철회 의향이 없다’는 응답이 59.8%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60세 이상이 54.7%, 40대가 54%, 30대 46.5%, 18세 이상 20대는 45.6%로 집계됐고 부동층 비율은 반대로 18세 이상 20대에서 52.8%로 가장 높게 나왔다.

그 외에 30대의 부동층 비율도 50.8%로 ‘과반’이었으며 40대(43.7%)와 60대 이상(41.3%), 50대(39.5%)는 과반에 미치지 못해 2030세대의 지지율이 큰 후보일수록 부동층 향배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지지정당별로는 민주당의 60.6%, 열린민주당의 60.3%는 지지철회 의사가 없다고 밝힌 반면 국민의힘에선 58.5%, 국민의당은 아예 50%선 아래인 46.9%, 정의당 44.6% 순으로 지지철회 의사가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올 만큼 범여권 결속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동층 비율에선 중도 성향인 국민의당이 51.8%로 가장 높았고 진보정당인 정의당도 49.5%로 나왔다.

심지어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의 경우 ‘지지철회 의사’는 없다는 응답률은 28%에 불과했지만 부동층 비율은 70%를 기록할 정도로 높았는데, 반면 국민의힘은 40.2%, 열린민주당 38.9%, 민주당 36.9% 등 거대양당과 범여권 정당은지지 철회 가능성이 낮게 나와 앞으로 어떤 의혹이 불거져도 흔들릴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대장동 개발사업 의혹에도 불구하고 동 기관이 조사한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에서 이 지사는 지난 조사 때보다 4.8%P 상승한 29.1%를 기록했고 윤 전 총장은 25.1%로 그 뒤를 이었으며 홍 의원은 15.1%, 이 전 대표는 12.4%로 나왔는데, 여론조사공정(주)에선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의혹에 지지층이 이탈하기보다 오히려 위기의식을 느끼고 결집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연령별로 봤을 때 부동층 비율이 높은 18세 이상 20대에선 홍 의원이 35.4%를 기록하며 다른 후보들을 압도했고, 마찬가지로 부동층 비율이 과반인 30대에선 이 지사가 25.3%, 이 전 대표가 24.8%로 각축전을 벌였으며 무당층에선 이 지사가 17.3%, 윤 전 총장 18.4%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ARS 방식만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3.1%P, 응답률 4%이고 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