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 논란’ 결국 국감장 간다…“김택진 증인 채택해야”

문체위, 강신철 게임산업협회장·위정현 게임학회장 각각 증인·참고인 채택 게임학회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도 증인 채택해야”

2021-09-25     임솔 기자
지난달 19일 열린 리니지W 글로벌 온라인 쇼케이스에서 김택진 CCO가 발언하고 있다. ⓒ엔씨소프트

[시사신문 / 임솔 기자]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하 문체위)가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하면서 확률형 아이템 논란에 대한 질의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문체위는 또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도 참고인으로 채택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문체위는 전날 전체회의에서 국감 서류 제출 요구 안건과 증인 출석 요구 안건을 통과시켰다. 올해 문체위 국정감사는 10월 1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며, 증인 및 참고인은 1일과 5일 출석하게 된다.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등 국내 게임사 대표들은 이번 문체위 국감 증인 명단에서 빠졌지만 국정감사 기간 중 소환 가능성은 있는 상황이다. 앞서 정무위원회는 김정주 넥슨 창업주와 강원기 메이플스토리 디렉터를 확률형 아이템 확률 조작 논란과 관련해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한편 한국게임학회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를 확률형 아이템 관련 증인으로 채택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확률형 아이템에서 최대의 수혜자이자 논란의 당사자이기 때문에 이번 국감을 통해 국내의 대표적인 게임회사인 엔씨의 태도와 입장에 변화가 있는 것인지, 있다면 대안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밝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게임학회는 “최근 엔씨의 ‘블소2’ 사태에서도 볼 수 있듯이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게임 이용자의 반발과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며 “이용자를 버린 산업, 이용자의 지탄을 받는 산업은 절대 오래갈 수 없음에도 3N 등 대기업 게임사들의 변화에 대한 노력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택진 대표는 사내 메일에서 ‘NC의 문제를 정확히 짚고 대안을 강구하겠습니다’라고 약속한 바 있기 때문에 (국감에서)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것은 더더욱 쉬운 일”이라며 “엔씨를 비롯한 대기업 게임사들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게임학회는 특히 이번 국감을 계기로 확률형 아이템 문제 해결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토대로 국회에 계류돼있는 ‘게임법 개정안’을 조기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임학회 관계자는 “지난 1년 동안 확률형 아이템을 둘러싼 논란과 메이저 게임사의 대응을 보면서 실망을 금치 못했다”며 “국회는 게임 산업과 생태계의 건전화를 위한 출발점이라 인식하고 법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