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정홍원, 경선룰 의결 놓고 진실공방?

정홍원 “경선룰, 최고위 의결 못해 우리가 결론지어야”…이준석 “명백하게 추인”

2021-09-02     김민규 기자
정홍원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좌)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우),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정홍원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과 이준석 대표가 역선택 방지 조항을 포함하지 않은 경선준비위원회 경선 룰을 최고위원회의가 의결했는지 여부를 놓고 상반된 주장을 펼쳤다.

정 위원장은 지난 1일 선관위 회의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과 관련해 “어떤 안도 성안이 된 것이 없고 확정된 게 없다. 경선준비위에서 만들어놨다는데 경준위는 자료 수집하는 역할이지 그 안이 확정안이 될 수가 없다”며 “확정안이 되려면 최고위 의결을 거쳐야 하는데 경준위는 그렇게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확정된 안이 있으면 그에 따르면 되지 사서 고생을 하겠는가. 결국 선관위가 최종 확정을 하거나 최고위에서 의결을 거쳐야만 확정될 수 있는 것”이라며 “당 차원의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결론짓는 게 좋지 않겠느냐는 생각하고 있어 최고위에 인사를 가는 김에 건의했고 최고위는 선관위에서 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 선관위원들이 마지막에 토론하고 논의해 최종 결론을 얻고자 한다”고 경선 룰을 사실상 선관위가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즉, 앞서 역선택 방지조항 포함을 반대한 서병수 전 경선준비위원장의 경준위 경선 룰은 최고위 의결이 없었다는 이유로 인정하지 못하겠다는 뜻인데 이에 이 대표는 같은 날 퇴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지난달 17일 최고위에서) 명백하게 추인이라는 표현을 썼다”며 “추인을 한 것은 맞다. 추인이 안 됐다는 말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정 위원장의 주장에 반박했다.

그러면서 그는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추가 논쟁을 막기 위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겠다. 경준위는 3차에 걸친 경선안, 여론조사, 당원투표 반영 비율을 포함한 경선계획안을 보고했으며 최고위는 해당 안에 대해 추인했다”며 “최고위 추인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역선택 도입 여부에 대한 서 위원장과의 질의응답도 거쳤다”고 강조했다.

다만 또다시 자신까지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며 대선후보들의 대리전처럼 정 위원장과 충돌하게 될까 우려한 듯 이 대표는 “선관위는 기 추인된 경준위 안을 수정하고 적용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선관위원장과 선관위원들은 공정하고 중립적 판단을 바탕으로 신속히 결론 내려 이 논쟁이 장기간 지속되지 않도록 해달라”며 선관위에 공을 넘겨주는 모습을 보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장 경준위 경선룰을 최고위에서 추인했다는 이 대표 발언을 근거로 후보들 간 공방은 이미 격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역선택 방지 조항 포함에 적극 반대해온 유승민 캠프에선 2일 이수희 대변인 논평을 통해 “윤 후보 측이 이 대표를 향해 탄핵, 사퇴하고 특정 후보 캠프로 가라고까지 했던 이유는 경준위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을 반대하던 서 위원장의 사퇴를 끌어내려 했기 때문”이라며 “선관위 결정을 따르겠다고 한 윤 후보의 자신감은 정 위원장과의 언약이 있었다는 증거다. 억울하다면 최고위원회의 추인을 받은 경준위 결정에 따르겠다고 입장을 밝혀라”라고 윤 전 총장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 대변인은 “타 후보의 추격이 두려워 경선을 파국으로 치닫게 한다면 또다시 홍 의원의 비판처럼 보수궤멸의 선봉장이 될 수 있다”고까지 주장했는데, 이러다 당 내홍으로 치달을까 우려한 정 위원장이 같은 날 각 후보에게 호소문을 보내 “국민들의 염원을 담아내야 하는 이 중차대한 상황에서 우리는 하나가 돼야 한다. 처음도 나중도 공정이란 가치를 최고 목표로 삼고 사심 없이 경선을 이끌어가겠다”고 직접 수습에 나섰다.

하지만 한편으로 정 위원장은 “상식에 맞고 순리에 부합한다면 소의를 버리는 용단도 갖겠다”며 해석의 여지가 있는 발언도 덧붙여 역선택 방지 조항을 포함하겠다는 뜻으로 읽힐 수도 있는 만큼 경선룰을 둘러싼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