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새 정치세력 규합해 대선 완주하겠다" 독자출마
충북 음성에서 출마 선언 "기존 정치권에 숟가락 얹지 않겠다" "자기들만의 리그를 벌이는 거대 양당 정치로는 변화 어려워" 친여 성향 김동연, 향후 여권과 후보 단일화 가능성도 솔솔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친여 성향인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20일 "내년 대선에 출마하여 완주할 것"이라면서 "기존 정치 세력에 숟가락 얹을 생각이 없다"며 독자출마 의지를 표명했다.
김 전 부총리는 이날 충북 음성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어 "정치판을 바꾸고 대한민국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엉터리 진보와 보수의 기득권의 싸움이 아닌 여도 야도 아닌 아래로부터의 반란을 일으키는 무리, 아반떼를 결집해 새로운 정치를 실현하겠다"며 "최선을 다해 제 길을 뚜벅뚜벅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민생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치 관행이나 문법으로 하면 안 된다"며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거대 양당이 아닌 새로운 길을 개척하며 출마한 것처럼 소박하게 고향인 음성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부총리는 "민생이 매우 어렵지만 정치권은 기득권 유지를 위한 싸움만 한다"며 "중앙 집권적이고 비민주적인 의사 결정 과정, 주민 참여 없이 기득권 유지를 위해 자기들만의 리그를 벌이는 거대 양당 정치로는 묵은 문제 해결하고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들의) 삶의 전쟁, 정치 전쟁을 끝내기 위해 대선에 출마하는 것"이라면서 "디지털과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국민이 즐겁게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정치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자신의 포부를 전했다.
충청권인 음성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김 전 부총리는 지역 연고에 대한 시선에 대해 "음성은 태어나서 자라고 조상의 뼈가 묻힌 곳이자 사무관 초임지로 발령받아 공직생활을 시작한 곳"이라며 "충청권 대망론은 편협한 지역주의가 아니라 수많은 세대갈등과 빈부갈등, 지역갈등을 통합하고 상생하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야권의 유력한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충청 대망론'도 견제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는데, 김 전 부총리는 "저는 충북 음성에서 태어났고 외가는 진천, 처가는 공주와 논산"이라면서 "어떤 분은 태어나지도 않은 곳을 고향이라고 말하고 다른 어떤 분은 작은 연고를 들어 고향을 말한다"고 꼬집기도 했다.
아울러 김 전 부총리는 여야의 경쟁 대선주자를 겨냥해 "초대 대통령부터 백제 시대까지 철 지난 얘기를 하며 남의 다리를 붙잡고 흠집만 내고 있다"면서 "국민에게 더 많은 기회, 고른 기회를 주고, 쪼개지고 갈라지는 편 가르기를 종식, 통합을 이루는 것이 이 시대의 화두다. 미래와 글로벌 환경, 어려운 경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제3지대'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손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 나온 것에 대해 "(안 대표와 만나는) 그럴 계획이 없다"고 분명하게 선을 그으면서 "지금은 세도 없고 돈도 없고 조직도 없는, 창업을 시작한 스타트업"이라며 "새 정치 세력을 규합해서 대선을 완주하겠다"고 선언했다.
앞서 김 전 부총리는 간담회에 앞서 음성 꽃동네를 방문했었는데, 그는 방명록에 "국민 삶을 보듬는 정치의 첫발을 내딛겠다"고 글을 남기기도 했다.
김 전 부총리는 여야 모두에게서 관심을 받는 인사인지만 일각에서는 그가 조정훈 시대전환 의원 및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소통을 이어온 점을 들어 김 전 부총리를 친여 성향에 가까운 인사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그가 '독자 출마'의 강한 의지를 내비쳤지만 향후 여권과 후보 단일화할 가능성에 대한 목소리도 솔솔 나오고 있다면서 김 전 부총리의 앞으로의 대선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