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여가부 폐지 논란에..."기득권女 보호기관, 폐지돼야 마땅"

"박원순·오거돈 사건엔 침묵...필요할 때만 감정호소"

2021-07-08     이청원 기자
하태경 의원이 여가부를 폐지해야 한다고 강하게 목소리 높였다 /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하태경 의원이 여가부 폐지 여론과 관련해 ‘마땅히 폐지돼야 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8일 하 의원은 정치권에서 여가부 폐지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여가부는 2차 가해에 그대로 노출된 2030여성은 외면하더니 권력을 좇는 일엔 즉각 처리했다”며 “그러니까 여가부는 본질에서 기득권 여성 보호 기관이었다”고 했다.

특히 박원순 성추행 사건을 언급하며 “사건이 알려지자 일각에서 피해자를 색출하려 했다”며 “(오히려) 서울시 젠더 담당 특보는 피해자 고소 사실을 박 시장에게 먼저 알려준 사실이 드러났듯 피해자를 보호하는 게 임무인 자가 기득권 옆에서 스파이 노릇을 했다”고 했다.

또 “‘장자연사건’의 가짜 증인으로 알려진 A씨에게는 익명 기부까지 해가며 법에도 없는 직‧간접적인 지원을 해줬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보호하겠다며 많은 보조금을 받고도 회계 장부를 조작해 돈을 빼돌렸고, (이 과정에서)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매개로 모인 기득권 여성들이 여가부에 받아간 돈만 2년간 10억 원이나 된다고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오거돈 성추행 사건과 관련해 “아예 무반응을 보이다 재보궐 선거가 가까워지자 여가부 장관은 ‘오거돈 사건은 국민 전체가 성인지 감수성을 학습할 기회’라며 피해자를 학습 교재 취급하고 가해자를 두둔했다”고도 지적했다.

또 하 의원은 “여가부는 정준영 황금폰 사건 때도 침묵했고, 웰컴투비디오 손정우 사건 때도 침묵했다”면서 “모두 2030여성이 피해자였던 사건으로 이렇게 진짜 피해자인 2030여성 문제는 외면하고 기득권 여성이 이득 되는 가짜 피해자만 보호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공격을 받을 땐 2030여성 성폭력 피해자 문제나 청소년 정책을 방패 삼아 감정에 호소하다가도, 정작 사건이 터지면 기득권 여성만 보호하는 여성가족부는 폐지돼야 마땅하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