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청원 “현대그린푸드 오너일가 사리사욕 채우고 있다” 조사 촉구

작년 현대그린푸드-범현대가 단체급식 수의계약 금액 지난 2019년 대비 소폭 감소 업계 “발주처가 식재료비와 인건비 등 정해서 계약, 삼성과 타 업체 다른 구조”

2021-06-28     강민 기자
청와대 국민청원에 현대자동차 그룹의 단체급식 부당지원을 조사해달라는 청원이 등장했다. ⓒ청와대

[시사신문 / 강민 기자] 현대그린푸드도 오너일가의 사리사욕을 채우고 있다는 국민청원이 등장했다. 반면 작년 현대그린푸드가 범현대가 그룹과 맺은 단체급식 수의계약 금액은 지난 2019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28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따르면 지난 25일 경제민주화 카테고리에 현대자동차 그룹의 단체 급식 부당지원을 조사해달라는 청원이 올라왔다. 다음달 25일까지 청원이 마감된다.

이 청원의 주요 내용은 현대자동차 그룹 주력 사업들은 노동집약적 성격을 띄고 있기 때문에 대규모 급식이 모든 사업장과 같이 따라다녀야하는 사업들이라고 강조하고 현대자동차그룹 주요계열사의 임직원 수를 합치면 11만 명이며 단순계산해도 최소 1300억 원의 매출이 자연스럽게 현대그린푸드로 향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청원자는 “현대그린푸드의 단체급식은 식단가 구성이 어떻게 된 것인지 의문이 들 정도로 부실하며 현대자동차 그룹의 주요사업장 단체급식 공급처를 현대'구린'푸드로 부른다”며 “식사양과 질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 매년 어떤 방식으로 십만 명이 넘는 회사의 단체 급식 공급사로 현대그린푸드만 선정되는지 단체급식을 먹어야할 임직원들의 선호도 조사도 없고 불만 개선도 이뤄지지 않는지 오너일가 사이의 단체급식 내부거래에 대해서는 눈과 귀를 막고 있는지 엄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 청원의 배경은 삼성웰스토리가 삼성주요계열사들의 단체급식 업체선정 과정에서 부당지원했다는 혐의로 공정위에 과징금 부과 및 검찰고발 당하면서 제기된 문제다.

공정위는 지난 4월 국내 단체급식 일감의 80%를 5개사가 점유하고 있으며 수십년간 계열사 또는 친족 기업과만 단체급식 수의계약 관행을 버리고 경쟁입찰하기로 선언한 '단체급식 일감 개방 선포식'을 열었다.

당시 현대자동차는 기존 사업장은 경쟁 입찰 시범실시 후 연수원이나 기숙사 등 신규 사업장은 경쟁입찰을 실시키로 했다. 현대백화점은 일부 직원 식당을 지역업체에 개방했고 개방 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익명을 요구한 단체급식업계 관계자는 "기업 단체급식은 발주처가 인건비와 식재료비용을 정하고 그에 맞춰 운영하고 있으며 식단가에 맞는 급식을 제공하고 있는 편이다"라며 "공정위가 공개한 자료에 삼성웰스토리 단체급식 영업이익률과 타 급식업체와의 영업이익률의 차이는 매우 크며 배당 구조도 다르다"고 말했다.

공정위 등에 따르면 작년 현대그린푸드가 현대중공업‧현대자동차‧현대백화점 그룹과 맺은 단체급식 수의계약 금액은 4703억 원으로 지난 2019년 대비 0.95% 감소한 4703억 원이다. 아울러 현대그린푸드 대주주는 현대백화점 그룹 정지선 회장과 정교선 부회장이 각12.67%, 23.8%를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