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디지털화폐 도입 필요성 커져...적극 대비해야"
"디지털전환 가속화...하반기중 CBDC 모의실험 착수"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디지털화폐(CBDC) 도입의 필요성이 커진 만큼 적극 대비할 것’이라고 했다.
이주열 총재는 11일 제71주년 창립기념식 기념사를 통해 “지급결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며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도입할 필요성이 더욱 커질 수 있는 만큼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하반기중 CBDC 모의실험에 착수해 그 기능과 활용성을 차질 없이 테스트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핀테크 확산, 전자지급수단 다양화 등 지급결제 부문의 혁신은 안전성에 기반하여 추진되어야만 지속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급결제제도의 안전성은 중앙은행이 감시자, 그리고 운영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때 확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급결제 환경변화에 맞추어 한국은행의 역할과 책임을 보다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법적·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하겠다”고 했다.
또 코로나 이후 우리 경제 회복에 대해 “부진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데 대면서비스업의 회복이 여전히 더디고 취약계층의 고용사정이 아직 어렵습니다만, 수출이 큰 폭 증가하고 설비투자가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소비도 부진에서 점차 벗어나는 모습으로 코로나 위기 초기에 급격한 변동성을 보였던 금융•외환시장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코로나19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기는 하지만, 하반기 우리 경제는 회복세가 좀더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