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단한 코로나19 대응인력 전용 심리지원 마련해

오는 4월 1일부터 경기도내 코로나19 대응인력 전용 심리지원 창구 개설 자가검진, 상담기관 안내 등 대응인력의 심리회복 나서

2021-03-31     고병호 기자
경기도. 사진/고병호 기자 

[경기북부 / 고병호 기자] 31일 경기도는 장기간 코로나19 감염사태가 지속됨으로 인해 이에 대응하는 의료전문가, 공무원, 봉사자 등의 대응인력들이 극심한 스트레스와 업무가중 및 우울증 등에 시달리며 고통을 호소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전용 심리지원 창구를 개설해 이를 극복하는 지원에 나섰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해당업무인력들은 업무와 초과방역업무를 병행하며 심신의 피로도와 심리적, 정신적 안정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정신건강복지센터 홈페이지 내 심리지원 창구를 개설해 경기도 내의 시군 보건소와 감염병원, 생활치료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재난 심리지원 회복센터 등 코로나19 감염예방에 투입된 인력들의 지원에 나섰다. 

지난 해 경기도 공공보건 의료지원단이 실시한 ‘경기도 코로나2차 위험인식 조사 결과’에 대응인력 73.6%가 ‘감정적 고갈’이 나타났고 71.8%가 ‘효능감 저하’를 느낀다고 답했으며 이 중 22.1%가 즉각 도움이 필요한 고도의 스트레스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이러한 해당인력들의 고충을 해소하고자 ‘심리지원 창구’를 마련함에 있어 해당인력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상담창구에는 자유게시판과 정신건강 자가검진, 상담기관 안내, 상담신청하기 등으로 구성해 자유로운 의사개진을 위해 익명의 게시판을 운영해 소통과 공감의 창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자가검진 및 상담기관 안내에는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자가검진 및 31개 시·군의 상담기관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담을 신청할 경우 비밀보장과 전화상담도 가능하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임상심리사 등의 케어를 받도록 했다. 

이뿐만이 아니라 경기도는 향후에 카카오톡 채널과 SNS활성화 등과 같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심리상담 및 마음건강 진료비 지원 등을 확대해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감염예방을 위해 애쓰는 현장 종사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최선을 다할 것임을 밝혔다.